티스토리 뷰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프로그래머스 난이도 2로 최근에 생긴 '혼자 놀기의 달인' 이라는 코테의 주관적인 소스 코드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난이도 2인것 치고는 나름 꼬아져 있는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문제 설명

혼자서도 잘 노는 범희는 어느 날 방구석에 있는 숫자 카드 더미를 보더니 혼자 할 수 있는 재미있는 게임을 생각해냈습니다.

숫자 카드 더미에는 카드가 총 100장 있으며, 각 카드에는 1부터 100까지 숫자가 하나씩 적혀있습니다. 2 이상 100 이하의 자연수를 하나 정해 그 수보다 작거나 같은 숫자 카드들을 준비하고, 준비한 카드의 수만큼 작은 상자를 준비하면 게임을 시작할 수 있으며 게임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준비된 상자에 카드를 한 장씩 넣고, 상자를 무작위로 섞어 일렬로 나열합니다. 상자가 일렬로 나열되면 상자가 나열된 순서에 따라 1번부터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번호를 붙입니다.

그 다음 임의의 상자를 하나 선택하여 선택한 상자 안의 숫자 카드를 확인합니다. 다음으로 확인한 카드에 적힌 번호에 해당하는 상자를 열어 안에 담긴 카드에 적힌 숫자를 확인합니다. 마찬가지로 숫자에 해당하는 번호를 가진 상자를 계속해서 열어가며, 열어야 하는 상자가 이미 열려있을 때까지 반복합니다.

이렇게 연 상자들은 1번 상자 그룹입니다. 이제 1번 상자 그룹을 다른 상자들과 섞이지 않도록 따로 둡니다. 만약 1번 상자 그룹을 제외하고 남는 상자가 없으면 그대로 게임이 종료되며, 이때 획득하는 점수는 0점입니다.

그렇지 않다면 남은 상자 중 다시 임의의 상자 하나를 골라 같은 방식으로 이미 열려있는 상자를 만날 때까지 상자를 엽니다. 이렇게 연 상자들은 2번 상자 그룹입니다.

1번 상자 그룹에 속한 상자의 수와 2번 상자 그룹에 속한 상자의 수를 곱한 값이 게임의 점수입니다.

상자 안에 들어있는 카드 번호가 순서대로 담긴 배열 card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범희가 이 게임에서 얻을 수 있는 최고 점수를 구해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2  cards의 길이 ≤ 100
  • cards의 원소는 cards의 길이 이하인 임의의 자연수입니다.
  • cards에는 중복되는 원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cards[i]는 i + 1번 상자에 담긴 카드에 적힌 숫자를 의미합니다.

 


입출력 예


cards result
[8,6,3,7,2,5,1,4] 12

 


 

우선 해당 문제의 지문이 길어서 벌써부터 하기 싫으실 수도 있으나, 사실 읽어보면 별거 없습니다. cards 의 배열 중에 랜덤으로 했을 때 가장 최고 점수를 구하는 것인데, 구하기 위해선 index 0부터 경우의 수를 생각해야 합니다. index 0번째부터 순서대로 진행한다면, [8, 4, 7, 1]가 되는데, 이게 웃긴게 마지막 index 7번째 부터 해도 [4, 7, 1, 8] 정렬하면 [1, 4, 7, 8]로 0번째 순서와 동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니 대충 어떻게 해야할지 각이 나오지 않나요? 일차원 적으로 0번째 인덱스 경우, 1번째 인덱스 경우 ... 7번째 인덱스 경우를 골라 중복을 제거해 주면 [1, 4, 7, 8], [2, 5, 6], [3] 총 가지가 나오게 됩니다. length 4, 3, 1 중에 4 * 3의 값이 가장 큰 점수이므로 4와 3만 골라주면 되는 거죠!

 

제가 생각하고 작성한 코드입니다. 완벽한 코드는 아니지만, 문제를 해석하기에 도움이 될 거 같아서 공유합니다!

 

// 난이도 2, 혼자 놀기의 달인

function solution(cards) {
  var answer = [];
  cards.forEach((value, index) => {
    let i = value - 1
    if (value !== 0) {
      for (let count = 1; count <= cards.length;) {
        if (cards[i] === value) {
          cards[i] = 0
          answer.push(count)
          break
        } else {
          count++
          const temp = cards[i] - 1
          cards[i] = 0
          i = temp
        }
      }
    }
  })

  const sort = answer.sort((a, b) => b - a)
  return sort.length > 1 ? sort[0] * sort[1] : 0;
}

 

난이도 2치고는 나름 어려운 문제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코테 보는 곳들이 난이도 3이 많이 나온다는 소문을 들어서.. 여기서 막힐 순 없다....

 

언젠간 난이도 3도 쉽게 풀 날이 오지 않을까요..

 

※ 프로그래머스 코딩 테스트 (주로 난이도1, 2, 3)의 주관적 풀이는 저의 깃허브에 하나하나 공유합니다 :D 
 -> 깃허브 바로가기

 

모두 화이팅입니다!!

반응형